투자 이야기 / / 2016. 5. 8. 23:08

기업의 질적인 측면은 어떻게 분석해야 할까?

반응형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는 요인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제품가격을 인상하여(P)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고 두번째는 많이 파는 것(Q)이죠. 그리고 이 두가지 요인은 공통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이 요인들이 수치로 확인하고 나타낼 수 있는 양적인 지표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0원 하던 새우깡 가격을 1100원으로 인상했다던지, 새우깡 공장을 증설해서 1년에 100만봉지 생산하던것을 150만봉지 생산했다던지 하는 것들이죠. 

 

하지만 여기서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제품의 가격이 오르거나, 많이 생산한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다 팔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가격을 올렸는데, 혹은 많이 생산을 해 놓았는데 물건이 안팔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회사는 어려움에 처하게 되고 투자자들은 손해를 보게 되겠죠. 

 

즉 기업은 사람들이 갖고 싶어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정말로 갖고 싶어하는 제품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사람들은 가격이 좀 비싸도 사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많이 팔리게 되겠죠. 

 

그렇다면 이런 측면에서의 기업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쉽지가 않습니다. 이것은 명확하게 평가를 하고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표가 없으며 판단을 하는데 있어서 주관적인 면이 많이 반영이 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보기엔 정말 괜찮아 보이는데 다른 사람이 보기엔 별로일 수 있다는 것이죠. 





 

사람들이 정말 갖고 싶어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어떤 회사가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정말 괜찮은 제품 혹은 서비스인지의 여부는 어떻게 판단을 할 수 있을까요? 그 기준에 대해서 명쾌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예를 하나 들어볼 순 있을 것 같습니다. 

 

오래 전 TV에서 보았던 광고가 하나 떠오르는군요. 

 

기아차가 세계적인 자동차 디자이너 중 한명인 피터 슈라이어를 영입하였다는 광고였습니다. 피터 슈라이어는 BMW의 크리스 뱅글, 아우디의 월터 드 실바와 함께 세계 3대 자동차 디자이너로 불리는 사람이지요. 

 

기아차는 피터 슈라이어의 영입사실을 대대적으로 광고함과 동시에 '디자인 기아'는 컨셉의 광고도 함께 내보내기 시작했습니다. 공대생 출신이었던 저는 당시 그 광고를 보면서 '차가 성능이 좋아야지 뭐 디자인 디자인 그러냐..' 이런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아무튼 이런 이벤트들이 있은 후, 기아차의 디자인은 획기적인 변신을 이룩하게 됩니다. 별 특징 없던 밋밋한 모습에서 마치 외제차 같은 세련된 외관으로 탈바꿈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갖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게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신을 하게 된 것이죠. 

 

그리고 이와 함께 기아차의 주가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지금은 지지부진하지만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0배가 넘는 상승을 보여주며 이른바 10루타를 달성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업의 질적인 변화는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이런 대단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요. 

 

하지만 피터 슈라이어 영입광고를 볼 당시 저는 그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이었는지, 그리고 그가 세계시장에서 당시에는 이른바 듣보잡 기업이었던 기아차에 왔다는 것이 기아차의 질적 도약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전혀 몰랐기 때문에 그 기회를 놓쳐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시장에는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있고 그들은 오늘도 경쟁에서 살아남아 시장의 승자가 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큰 변화를 통해 급격한 성장을 이룩하는 회사가 분명 나올 것입니다. 그리고 과거 사례들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인다면 우리는 분명 그러한 조짐을 보이는 기업을 찾아내어 그 과실을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